우리는 평소 다이어트를 하거나 웨이트레이닝을 하게 되면 트레이너들이나 운동을 도와주는 사람들이 유산소운동이 어떻고 무산소운동이 어떻고 하는 말을 한번씩은 들어 보셨을 겁니다.
오늘 포스팅은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의 에너지동원체계를 통한 차이점을 알아보고 운동의 종류는 어떻게 나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너지동원체계에 따라 운동은 크게 유산소(aerobic)운동과 무산소(anaerobic)운동으로 분류합니다.
그러나 실제운동은 두 에너지동원체계가 혼용 된 혼합운동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축구의 경우 전반적으로는 유산소운동 이지만, 빠른 동작을 하거나 신속히 이동할 때는 무산소운동이 됩니다.
이와 같 이 에너지동원체계가 혼용되어 있는 운동을 '혼합운동'이라 합니다.
한편 동일종목의 운동이라도 운동강도와 체력수준에 따라 유산소운동이 되 기도 하고 무산소운동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운동종목을 선정할 때는 유· 무산소운동인가의 판단 이상으로 운동방법의 선택도 중요합니다.
인체는 무산소와 유산소의 두 가지 에너지생산과정에 의해 근수축 또 는 다른 생물학적 일의 수행에 필요한 에너지원인 아데노신삼인산(ATP : adenosine triphosphate)을 생산합니다.
무산소에너지 생산과정에는 두 종류가 있다. 근육에 저장된 ATP와 크레아 틴인산(CP : creatine phosphate)의 분해에 의해 화학적 에너지가 생성되는 과정과 글리코겐(glycogen)의 무산소분해를 통해 소량의 ATP와 대사부산물 인 적산이 생산되는 과정이 있습니다.
유산소에너지 생산과정에서는 세포의 미토 콘드리아에서 지방과 탄수화물의 분해과정에 산소를 사용하여 대량의 ATP를 생산합니다.
무산소운동과 유산소운동에서 에너지생산경로의 차이점을 보여줍니다.
무산소운동 → 크레아틴인산(CP), 저장된 ATP → 높은 강도의 짧은 활동(10초 내에 피로 축적)
무산소운동 → 포도당, 글리코겐 → 높은 강도의 짧은 활동(3초 내에 피로 축적)
유산소운동 → 포도당, 글리코겐, 지방 → 낮은 강도의 긴 활동(피로 축적까지 3분 이상 걸림)
유산소운동 종목에는 걷기, 조깅, 에어로빅, 사이클, 줄넘기, 천천히 수영하기 등이 있습니다.
무산소운동 종목에는 웨이트트레이닝, 단거리 전력질주, 높이뛰기 등이 있습니다.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을 혼합한 혼합운동에는 축구, 농구, 배구, 탁구, 빠른 수영 등이 있습니다.
유산소운동에서는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산소를 이용하여 생산합니다.
전신운동이며 지구력운동이므로 에너지소비가 많으며, 지방을 연료로 쓰고 로물질인 젖산축적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유산소운동은 건강관련 체력요소 인 심장허파지구력 향상과 비만방지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건강증진을 위한 운동으로 장려됩니다.
유산소운동은 심장허파(심폐)지구력운동이라고도 합니다.
유산소운동은 무산소운동에 비하면 안전성이 높습니다.
운동강도를 조절하기 쉽고, 심장의 부담이 갑자기 증가하지 않으며, 국소에 갑자기 강한 힘이 작용하 지 않고, 근육이나 인대의 파열과 같은 운동상해위험이 적습니다.
한편 무산소운동은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산소의 도움 없이 생산하는 빠른 운동으로, 단시간에 폭발적인 다량의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갑자기 혈압이 상승하기 쉽고, 심장에 부하가 가해지기 쉬우며, 피로물질인 젖산이 축적되는 단점이 있지만, 건강관련 체력의 하나인 근력강화에 효과적입니다.
무산소운동은 유산소운동에 비하여 지방소비가 적고, 소비에너지가 비교적 적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만의 정의와 분류 (0) | 2019.12.18 |
---|---|
눈 질환을 의심해볼 만한 증상들 (0) | 2019.12.17 |
운동부족이 나쁜 이유 (0) | 2019.12.15 |
중이염의 원인과 증상 (0) | 2019.12.14 |
생활습관병의 운동효과 (0) | 2019.12.13 |